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어깨복합체] 오목위팔관절의 관절주머니인대 1

by 물리치료사서희원 2025. 3. 13.
반응형


관절주머니인대들

 

관절주머니의 앞쪽과 아래쪽 벽면의 바깥층은 오목위팔관절주머니인대들(glenohumeral capsular ligaments)이라 불리는 섬유성 결합조직에 의해 두꺼워지고 강화된다. 이러한 인대 구조물들은 복잡한 배열을 보이는데, 대부분의 섬유들은 위팔뼈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반면, 일부 특수한 고리섬유들(circular fibers)은 관절 주위를 나선형으로 감싸면서 관절주머니 내부로 다시 돌아와 부착하는 독특한 구조를 보인다. 이러한 해부학적 특성은 관절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관절의 역학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느슨한 구조를 가진 관절주머니인대들은 관절 운동 시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도로 신장되거나 비틀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동장력은 GH관절에 필수적인 역학적 지지를 제공하며, 특히 관절의 돌림운동과 병진운동이 끝범위에 도달할 때 과도한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더불어, 관절주머니 인대들은 관절주머니의 벽면들을 물리적으로 보강함으로써 GH관절 내부의 관절속 음압을 적절하게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유지되는 음압은 미세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관절의 안정성을 한층 더 강화한다. 만약 어떤 이유로 관절주머니에 구멍이 생기게 되면, 관절 내외부의 압력이 균등해지면서 위팔뼈머리와 관절오목 사이에 존재하던 중요한 흡인력이 소실되게 된다. 실제로 실험적 연구에서 바늘로 관절주머니를 관통시켜 이러한 압력 차이를 제거했을 때, 위팔뼈머리가 아래쪽으로 부분적으로 탈구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비록 구조적으로는 분리되어 있지만, 부리위팔인대 역시 관절주머니인대들과 함께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구조물이다. 따라서, 각각의 인대나 관절주머니 구조물들이 특정 관절 운동을 제한하는데 있어 어떠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지 자세히 보아야한다. 이러한 해부학적, 생체역학적 지식은 임상가들이 관절주머니 손상과 관절 불안정성의 발생 기전을 더 깊이 이해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도수치료 방법이나 수술적 접근법을 선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GH관절의 관절주머니인대들은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아교섬유들로 구성된 정교한 구조물로, 크게 위섬유, 중간섬유, 그리고 아래섬유의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인대 구조들은 GH관절의 내부 표면에서 가장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위오목위팔인대(superior glenohumeral ligament)는 위팔두갈래근이 부착하는 지점의 바로 앞쪽에 위치한 오목위결절 부근에서 시작하여, 인접한 관절주머니와 함께 작은결절 상부의 위팔뼈 해부목 근처에서 종지한다. 이 인대는 특히 위팔뼈가 완전히 모아질 때 가장 강하게 긴장되며, 이러한 긴장 상태에서는 위팔뼈머리의 하방 및 전후방 병진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