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에너지 기법(MET)의 선택 기준
근육의 단축 또는 약화를 치료하기 위해 MET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
✔️ 목표 근육이 단축되었는가, 약화되었는가?
✔️ 단축된 근육을 신장할 것인가, 약화된 근육을 강화할 것인가?
✔️ 통증이 있는가? 급성기인가, 만성기인가?
✔️ 어떤 기법이 환자에게 적합한가?
2️⃣ 단축된 근육을 신장시키기 위한 MET 선택
✅ 예제: 단축된 오른쪽 내전근을 신장하려는 경우
1) 상호 억제 기법 (Reciprocal Inhibition, RI) 적용
✔️ 목적: 내전근을 이완
✔️ 방법:
- 치료사의 저항에 대항하여 환자가 같은 힘으로 반대 근육(외전근)을 수축
- 신경학적 억제를 통해 내전근이 이완됨
2) 등척성 후 이완 기법 (Postisometric Relaxation, PIR) 적용
✔️ 목적: 내전근의 긴장 감소
✔️ 방법:
- 치료사의 저항에 대항하여 환자가 같은 힘으로 내전근을 등척성 수축
- 이후 힘을 빼면서 이완과 신장이 일어남
3) 빠른 등장성 수축 (원심성 등장성 수축 또는 등분성 수축) 적용
✔️ 목적: 섬유화 조직을 제거하고 신장
✔️ 방법:
- 환자가 내전근을 수축하려는 힘보다 더 강한 저항을 치료사가 가함
- 근육이 신장되면서 섬유화 조직이 파괴됨
💡 이 방법은 미세 외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환자에게 미리 설명 필요
4) Ruddy의 '단속적 근에너지 기법' 적용
✔️ 목적: 신경근 재교육 및 근육 이완
✔️ 방법:
- 환자가 제한 장벽 방향으로 10초 동안 20회의 빠른 단속적 힘을 적용
- 치료사가 이에 대항하여 반대힘을 제공
💡 이 기법은 관절 가동 범위 증가 및 근육 이완에 효과적
3️⃣ 단축된 근육에 MET 적용 시 고려할 사항
📌 적절한 제한 장벽(barrier) 확보
✔️ PIR을 적용할 경우 저항이 처음으로 느껴지는 지점에서 시작
✔️ RI 기법 및 촉진 후 신장법(Post-Facilitation Stretching)은 중간 범위(mid-range)에서 시작
✔️ 등분성 신장(원심성 수축)은 저항 장벽에서 시작
📌 환자의 신체 반응에 맞춘 조절
✔️ 환자가 갑작스럽게 힘을 가하지 않도록 유도
✔️ 천천히 점진적으로 힘을 적용하여 신경학적 반응을 최적화
4️⃣ 약화된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MET 선택
✅ 예제: 약화된 오른쪽 내전근의 근력 강화를 원할 경우
✔️ 목적: 내전근의 근긴장도 및 근력 회복
✔️ 방법:
- 환자가 천천히 제한 장벽 방향(내전)으로 움직이도록 유도
- 치료사는 이에 적절한 저항을 제공
- 점진적 저항 증가를 통해 근력 강화 유도
💡 운동근(mobilizer)과 자세유지근(postural muscle) 모두 고려해야 함
5️⃣ MET 적용 시 주의해야 할 요소
✅ MET의 필수 요소
✔️ 환자가 자신의 근력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유도
✔️ 치료사는 환자의 힘에 대해 미리 정한 방법에 따라 반대힘을 적용
❌ 적용 시 피해야 할 실수
❌ 치료사가 절대 근력 테스트(최대 힘 요구)를 강요하면 안 됨
❌ 환자에게 '최대한 강하게 힘을 주시오'라고 요구하지 말 것
❌ 운동 방향, 힘의 정도, 적용 시간 등에 대한 설명 없이 진행하지 말 것
💡 환자가 역할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이 필요함
6️⃣ MET 적용 시 필수적인 환자 교육
✔️ 운동 방향, 힘의 강도 및 지속 시간에 대한 명확한 지침 제공
✔️ 호흡 조절과 눈의 움직임(필요한 경우)에 대한 설명 포함
✔️ 휴식 및 이완 과정의 중요성 강조
💡 환자가 치료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피드백 제공 필요
7️⃣ 결론 – 근에너지 기법 선택 요약
📌 단축된 근육을 신장하려면?
✔️ RI 기법 – 길항근을 수축하여 목표 근육 이완
✔️ PIR 기법 – 등척성 수축 후 이완을 통한 신장
✔️ 빠른 원심성 수축(등분성 MET) – 강한 저항을 통해 섬유화 조직 제거
✔️ Ruddy의 기법 – 신경근 재교육을 통한 근육 조절
📌 약화된 근육을 강화하려면?
✔️ 구심성 등장성 MET – 점진적 저항을 적용하여 근력 증가
✔️ 등속성 MET – 전체 가동 범위에서 균등한 저항 제공
✔️ 운동근 및 자세유지근 구분 후 적절한 방법 적용
💡 즉, 근육 상태(단축 vs. 약화)에 따라 적절한 MET 기법을 선택해야 하며, 환자의 역할 이해와 올바른 시행 방법이 치료 성공의 핵심 요소이다.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복합체] 관절의 감각신경지배와 어깨 근육들의 작용 (0) | 2025.03.31 |
---|---|
등분성(등장성 원심성) 근에너지 기법을 이용한 섬유화 변화의 경감(Reduction of Fibrotic Changes with Isolytic MET) (0) | 2025.03.28 |
[어깨복합체] 어깨가슴관절의 내림근육들 (0) | 2025.03.28 |
등속성 근에너지 기법을 이용한 관절 복합체의 근력 강화 (Strengthening a Joint Complex with Isokinetic MET) (0) | 2025.03.27 |
[어깨복합체] 어깨가슴관절의 올림근육들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