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등분성 근에너지 기법(Isolytic MET)이란?
📌 등장성 원심성 수축(Eccentric Isotonic Contraction)을 활용한 근에너지 기법
✔️ 환자가 근육을 수축하는 방향으로 힘을 주지만, 치료사는 그보다 강한 저항을 가하여 관절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유도
✔️ 근육의 기시점과 정지점이 가까워지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치료사의 저항으로 인해 두 점이 더 멀어짐
✔️ 결과적으로, 근육이 신장되면서도 수축하는 특수한 형태의 운동
📌 등분성(Isolytic) MET의 작용 원리
✔️ 손상된 근육 내 섬유화(fibrosis) 제거
✔️ 근막 유착(adhesion) 파괴
✔️ 근육의 탄력 섬유와 비탄력 섬유 간의 관계 변화
💡 즉, 등분성 MET는 강한 원심성 수축을 유도하여 섬유화 조직을 제거하고 근육을 회복시키는 방법이다.
2️⃣ 등분성 MET 적용 방법
📌 기본 적용 절차
✔️ 환자가 수축하려는 방향으로 근력을 사용
✔️ 치료사는 그보다 강한 저항을 주어 반대 방향으로 관절이 움직이게 유도
✔️ 수축 과정에서 근육의 섬유화 조직이 파괴되고, 근막이 신장됨
📌 적용 예시 - 상지 및 하지 근육
✅ 예시 1) 상완 이두근(Biceps Brachii)
✔️ 환자가 팔을 굽히려고 할 때 치료사는 팔을 펴도록 저항을 가함
✔️ 상완 이두근의 섬유화가 파괴되고, 근육 길이가 회복됨
✅ 예시 2) 대퇴이두근(Hamstrings)
✔️ 환자가 무릎을 구부리려고 할 때 치료사는 무릎을 펴는 방향으로 저항을 줌
✔️ 슬곡근(햄스트링)의 섬유화 조직을 제거하고 유착을 해소하는 효과
💡 즉, 환자가 근육을 수축하려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동안, 치료사가 반대 방향으로 저항을 가하여 근육을 신장시키고 섬유화를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3️⃣ 등분성 MET의 생리학적 효과
📌 섬유화 조직 제거 및 근육 길이 회복
✔️ 장기간 단축된 근육 내 섬유화(fibrotic change) 해결
✔️ 근막 유착 제거 및 조직 재생 촉진
📌 근력 및 근육 탄성 회복
✔️ 손상된 근육 섬유의 재조직화
✔️ 근육의 탄력성 회복 및 관절 기능 향상
📌 국소적인 혈류 개선 및 대사 활성화
✔️ 근육 내 미세 외상(microtrauma) 발생 후 재생 과정 촉진
✔️ 조직 내 산소 공급 및 노폐물 배출 증가
💡 즉, 등분성 MET는 근육을 강한 원심성 수축 상태로 신장시켜 섬유화를 제거하고 근육을 회복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4️⃣ 등분성 MET의 임상적 활용
📌 근막 유착 및 섬유화 조직 치료
✔️ 만성 근막통(Myofascial Pain Syndrome, MPS) 치료
✔️ 장기간 고정된 근육의 유착 해소
📌 수술 후 재활 및 조직 회복 촉진
✔️ 관절 수술 후 근육의 단축과 유착 방지
✔️ 외상 후 근육 기능 회복
📌 근력 불균형 및 자세 교정
✔️ 비대칭적 근육 단축으로 인한 신체 불균형 조절
✔️ 지속적인 근육 과사용으로 발생한 문제 해결
📌 운동선수 및 재활 치료
✔️ 운동 선수의 근육 기능 및 유연성 향상
✔️ 격렬한 운동 후 근육 손상 예방 및 회복 촉진
💡 즉, 등분성 MET는 근막 유착 제거, 수술 후 재활, 자세 교정, 스포츠 재활 등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5️⃣ 등분성 MET 적용 시 주의사항
✅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통증 조절 필수 – 환자에게 약간의 불편감은 정상이지만,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면 강도를 조절해야 함
✔️ 서서히 강도 증가 –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저항을 점진적으로 증가
✔️ 관절의 안정성 유지 – 무리한 신장으로 인한 손상 방지
❌ 금기 사항
❌ 급성 염증 상태(근육 염좌, 관절염 등)
❌ 심한 근육 손상(근섬유 파열 등)
❌ 골다공증 환자(과도한 힘 적용 시 골절 위험 증가)
💡 즉, 등분성 MET 적용 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강도를 점진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6️⃣ 등분성 MET vs. 기타 MET 비교
구분등척성 MET등장성 MET등속성 MET등분성 MET
기본 원리 | 근육을 움직이지 않고 등척성 수축 | 근육을 수축하며 관절이 움직임 | 일정한 속도로 저항 제공 | 근육이 수축하는 동안 치료사가 반대 방향으로 더 큰 저항 제공 |
주된 효과 | 근육 이완 및 신장 | 근력 증가 및 근육 활성화 | 근력 강화 및 신경근 조절 | 섬유화 조직 제거 및 근육 길이 회복 |
저항 방식 | 치료사가 저항을 제공 | 치료사가 저항을 조절 | 치료사가 일정한 저항을 제공 | 치료사가 환자의 힘보다 더 강한 저항 제공 |
💡 즉, 등분성 MET는 섬유화 조직 제거 및 근육 회복에 특화된 방법이다.
7️⃣ 결론 – 등분성 MET의 임상적 가치
📌 등분성 MET는 손상된 근육을 원심성 수축 상태에서 강한 저항을 통해 신장시키는 방법
📌 특히, 만성적인 섬유화(fibrosis)와 근막 유착(adhesion) 제거에 효과적
📌 운동선수 재활, 근육 불균형 교정, 수술 후 회복 등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 활용 가능
📌 단, 통증 조절과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강도를 조절해야 함
💡 즉, 등분성 MET는 근막 유착 및 섬유화 조직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도구이며, 적절한 강도 조절을 통해 환자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 문제를 치료하기 위한 근에너지 기법 선택 요약(Summary of Choices for MET in Treating Muscle Problems) (0) | 2025.03.31 |
---|---|
[어깨복합체] 관절의 감각신경지배와 어깨 근육들의 작용 (0) | 2025.03.31 |
[어깨복합체] 어깨가슴관절의 내림근육들 (0) | 2025.03.28 |
등속성 근에너지 기법을 이용한 관절 복합체의 근력 강화 (Strengthening a Joint Complex with Isokinetic MET) (0) | 2025.03.27 |
[어깨복합체] 어깨가슴관절의 올림근육들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