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근에너지 기법과 호흡 (Breathing and MET)(The Role of Breathing in Muscle Energy Techniques)

by 물리치료사서희원 2025. 3. 19.
반응형

1️⃣ MET에서 호흡의 중요성

📌 호흡은 MET 적용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 근수축 및 신장 과정에서 호흡 조절은 근막의 긴장도를 변화시키고, 신경학적 영향을 미친다.
📌 MET 적용 시 환자에게 올바른 호흡 패턴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MET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호흡 패턴:

등척성 수축(근수축) 시숨을 멈춘다
근육의 신장 또는 수동적 움직임 시숨을 내쉰다

💡 이러한 호흡 패턴은 MET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자의 신체적 긴장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2️⃣ 호흡이 MET에 미치는 생리학적 영향

📌 Cummings & Howell(1990)의 연구:

  • 호흡이 근막 긴장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함.
  • 주관절 굴곡근 조직을 이용한 연구에서, 호흡이 근육의 수동적 긴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함.

📌 Gerogive & Kisselkova(1976)의 연구:

  • 자전거 에르고노미터(ergonometer) 운동 후의 호흡 주기를 분석한 결과, 비호흡 근육(예: 상완이두근, 대퇴사두근, 가자미근 등)이 호흡 중추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확인함.
  • 즉, 호흡 자체가 신경학적 신호를 통해 근육 긴장도 조절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함.

💡 결론: 호흡은 근막 조직의 기계적 및 신경학적 긴장도를 조절하며, MET 적용 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3️⃣ 호흡과 MET의 상호 작용

📌 Lewit(1990)의 연구에서 제시한 호흡과 신체 움직임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호흡 단계신체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숨을 들이쉬는 것(흡기, Inspiration) 근육의 힘을 더 많이 발휘하게 도움을 줌
숨을 내쉬는 것(호기, Expiration) 신장 운동 및 움직임 촉진
호기 시(숨을 내쉴 때) - 복근의 수축이 강화됨
- 요추와 경추의 굴곡 운동 촉진됨
- 흉추의 신전 운동 촉진됨
흡기 시(숨을 들이쉴 때) - 요추와 경추의 신전 운동 촉진됨
- 흉추의 굴곡 운동 촉진됨
앉은 자세에서 체간 회전 흡기 시 촉진되고, 호기 시 억제됨
경부 견인(신장) 호기 시 더 쉬움
요추 견인(신장) 흡기 시 더 쉬움, 호기 시 억제됨

 

💡 즉, MET 적용 시 환자의 호흡 패턴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보다 효과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 MET 적용 시 호흡 패턴을 활용하는 방법

1️⃣ 등척성 수축 시 (Isometric Contraction)

숨을 들이마신 후, 숨을 멈춘 상태에서 근수축을 유지하도록 한다.
✅ 환자가 수축하는 동안 호흡을 멈추는 것이 중요하다.
✅ 환자가 숨을 쉬면서 힘을 주면, 힘의 강도가 균일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

2️⃣ 근육의 신장 시 (Stretching Phase)

환자는 숨을 내쉬면서(호기 시) 천천히 신장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 호기는 신체의 긴장을 낮추고, 근막의 이완을 유도하며, 근육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3️⃣ MET와 호흡을 동시에 고려한 적용 방법

📌 호흡 조절을 통해 환자가 더 깊은 신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예를 들어, 사각근을 치료할 때 호흡과 연계된 근육 수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 환자의 호흡 주기에 맞춰 MET를 적용하면 신경근 조절과 조직의 이완을 최적화할 수 있다.


5️⃣ 임상 적용 예시: MET와 호흡의 실제 활용 방법

✅ 예제 1: 요추부 굴곡 제한이 있는 환자 (Lumbar Flexion Restriction)

목표: 요추부 굴곡 ROM 증가
방법:
1️⃣ 환자를 바로 눕게 한 후, 무릎을 가슴 쪽으로 당긴다.
2️⃣ 제한이 처음 나타나는 저항 장벽에서 환자에게 힘을 주도록 한다.
3️⃣ 환자는 숨을 들이마시면서(MVC 20~30%) 다리를 가볍게 밀어낸다.
4️⃣ 치료사는 환자의 힘을 유지하면서, 7~10초간 등척성 수축을 유지한다.
5️⃣ 숨을 내쉬면서 천천히 이완한 후, 가동 범위를 증가시키도록 한다.


✅ 예제 2: 경부 신전 제한이 있는 환자 (Cervical Extension Restriction)

목표: 경부 신전 ROM 증가
방법:
1️⃣ 환자를 앉힌 상태에서 경추 신전이 제한되는 위치까지 움직인다.
2️⃣ 제한 장벽에서 환자가 가볍게 저항하도록 한다.
3️⃣ 환자는 흡기 시 힘을 주고(등척성 수축), 호기 시 긴장을 풀면서 신전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4️⃣ 환자가 숨을 내쉴 때 경추를 천천히 더 신전시켜 가동성을 증가시킨다.
5️⃣ 3~5회 반복하여 제한 범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 결론: 호흡을 활용하면 MET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 MET 적용 시 호흡 패턴을 적절히 조절하면 근육의 긴장도를 감소시키고, 신장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흡기 시 등척성 수축을 유지하고, 호기 시 신장을 적용하면 근육과 관절의 가동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호흡이 신경근 반응과 근막 조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MET 치료에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 MET 적용 시 환자의 호흡 패턴을 고려하는 것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핵심 포인트이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