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ET에서 등척성 수축 강도의 중요성
📌 근에너지 기법(MET)에서 등척성 수축을 사용할 때, 환자의 힘의 강도를 얼마나 적용할 것인지가 매우 중요하다.
📌 대부분의 MET에서는 낮은 강도로 수축하는 것이 원칙이며, 특정한 경우에만 강한 수축을 요구한다.
📌 근육 섬유 유형에 따라 적절한 수축 강도를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에 필수적이다.
💡 즉, 신장이나 이완을 목표로 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강한 수축을 요구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 2️⃣ 등척성 수축 강도에 따른 근육 반응
수축 강도사용되는 근육 섬유MET에서의 적용
30% 이하 | 자세 유지근(Postural muscle) | - 장시간 약한 수축 유지가 효과적 - 근긴장도 감소 및 근육 신장에 유리 |
30~50% | 속근(Phasic muscle) 섬유 + 일부 자세 유지근 | - 속근 섬유가 부분적으로 동원됨 - 특정한 치료 목표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 가능 |
50% 이상 | 속근(Phasic muscle) 섬유 | - 강한 근력 강화 및 특정한 경우에만 사용 - 일반적인 MET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 |
📌 일반적으로 MET에서는 30% 이하의 낮은 강도로 수축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 강한 수축(50% 이상)은 특정한 대근육군 치료 시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3️⃣ 왜 MET에서 낮은 강도로 등척성 수축을 해야 하는가?
📌 신장과 이완을 목표로 할 경우, 자세 유지근(postural muscle) 섬유를 주로 활용해야 한다.
📌 속근 섬유(Phasic muscle)는 강한 수축을 요구하며, MET에서는 불필요한 긴장도를 초래할 수 있다.
📌 장시간 유지되는 약한 수축이 신경근 조절과 근육 긴장도 감소에 더 효과적이다.
📌 수축 강도가 높을 경우, 오히려 불필요한 피로와 근육통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 따라서, 대부분의 MET에서는 낮은 강도(20~30%)의 등척성 수축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 4️⃣ 사각근과 호흡의 관계 (Scalene Muscles & Breathing)
📌 사각근(Scalene muscles)은 호흡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흡기 시 자연스럽게 등척성 수축이 유발된다.
📌 따라서, MET에서 사각근 치료를 할 때 호흡 조절이 필수적이다.
📌 환자가 의식적으로 흡기를 유지하면 자연스럽게 등척성 수축을 유도할 수 있다.
📌 이러한 방법은 MET 적용 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다.
💡 즉, MET 적용 시 사각근 치료에서는 호흡을 유지하는 것이 효과적인 근긴장도 조절에 매우 유리하다.
🔹 5️⃣ 임상적 적용: MET에서 등척성 수축 강도 조절 방법
📌 MET를 적용할 때, 환자가 너무 강한 힘을 사용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 환자에게 "최대 힘의 20~30%만 사용하세요"라고 구체적인 지시를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숨을 들이마실 때 힘을 주고, 내쉴 때 신장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치료 효과가 더욱 증가한다.
✅ 예제 1: 상부 승모근과 사각근 이완을 위한 MET 적용
1️⃣ 환자는 머리를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 제한이 걸리는 위치에서 멈춘다.
2️⃣ 치료사는 환자에게 "숨을 들이마신 상태에서 아주 약하게 힘을 주세요 (20 ~ 30%)"라고 지시한다.
3️⃣ 7 ~ 10초 동안 등척성 수축을 유지한 후, 환자에게 "숨을 내쉬면서 힘을 완전히 빼세요"라고 안내한다.
4️⃣ 새로운 제한 장벽까지 부드럽게 신장한다.
5️⃣ 이 과정을 3~5회 반복하여 근육을 점진적으로 이완시킨다.
💡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면 MET에서 효과적인 근육 이완과 신장을 유도할 수 있다.
🔹 6️⃣ 결론: MET에서 등척성 수축 강도의 핵심 포인트
✅ 대부분의 MET에서는 낮은 강도(20~30%)의 등척성 수축이 가장 효과적이다.
✅ 속근(Phasic muscle)이 아닌 자세 유지근(Postural muscle)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 사각근과 같은 호흡 관련 근육은 호흡을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등척성 수축을 유도할 수 있다.
✅ 환자가 너무 강한 힘을 사용하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MET의 성공적인 적용에 필수적이다.
💡 즉, MET에서 등척성 수축을 적절한 강도로 조절하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에너지 기법의 다양성 (MET Variations) (0) | 2025.03.21 |
---|---|
[어깨복합체] 오목위팔관절의 벌림과 모음, 굽힘과 폄 (0) | 2025.03.21 |
[어깨복합체] 오목위팔관절에서의 구르기와 미끄러짐의 중요성 (1) | 2025.03.20 |
근에너지 기법과 호흡 (Breathing and MET)(The Role of Breathing in Muscle Energy Techniques) (0) | 2025.03.19 |
[어깨복합체] 부리봉우리활 그리고 관계된 윤활주머니들, 오목위팔관절 운동형상학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