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치료사의 실수와 교정 방법
🚨 [1] 저항성 장벽과 관련한 관절이나 근육의 부정확한 자세 조절
▶ 문제점: 환자의 관절이나 근육을 적절한 위치에 놓지 않으면 효과적인 치료가 어렵다.
▶ 교정법: 치료사가 저항성 장벽의 위치와 역할을 명확히 이해하고, MET를 시행할 때 근육과 관절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해야 한다.
🚨 [2] 수축에 대항하는 반대힘(counterforce)이 부정확함
▶ 문제점:
-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 시, 환자의 힘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으면 근육이 제대로 이완되지 않는다.
- 등장성 구심성 수축(concentric isotonic contraction) 시, 움직임을 방해하면 치료 효과가 감소한다.
- 등분성 기법(isolytic manoeuvre) 시, 치료사가 환자의 힘보다 강한 저항을 주지 않으면 섬유성 조직의 신장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 교정법:
✔ 등척성 수축 시 → 환자의 힘과 정확히 일치하는 반대힘을 가한다.
✔ 등장성 구심성 수축 시 → 환자의 움직임을 허용하되, 적절한 저항을 제공한다.
✔ 등분성 기법 시 → 환자의 힘보다 강한 저항을 가하여 섬유성 조직이 효과적으로 신장되도록 한다.
🚨 [3] 반대힘(counterforce)을 부적절한 방향으로 적용함
▶ 문제점: 치료사가 환자의 움직임과 반대되는 힘을 올바른 방향으로 가하지 않으면, MET의 효과가 감소한다.
▶ 교정법: 치료사가 정확한 운동 방향과 저항 방향을 사전에 계획하고 적용해야 한다.
🚨 [4] 수축 후에 너무 성급하게 새로운 자세로 옮긴다
▶ 문제점:
- 근육이 이완될 시간을 충분히 갖지 않고 즉시 새로운 위치로 이동하면 긴장이 완전히 풀리지 않는다.
- 신장 반사가 활성화되어 오히려 근육이 다시 수축할 가능성이 높다.
▶ 교정법:
✔ 근육이완 불응기(refractory period, 약 25초)를 고려하여 충분한 시간을 두고 새로운 자세로 이동해야 한다.
✔ 이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 후 천천히 새로운 자세로 조정한다.
🚨 [5] 환자에게 부정확한 지시를 한다
▶ 문제점:
- 환자가 정확한 방향으로 힘을 주지 않거나, 너무 강한 힘을 사용하면 치료 효과가 감소한다.
- 치료사의 지시가 모호하면 환자가 협력하기 어렵다.
▶ 교정법:
✔ 명확하고 간단한 언어로 단계적으로 안내한다.
✔ 예를 들어, "다리를 이 방향으로 부드럽게 밀어주세요. 힘은 20%만 사용하세요"처럼 구체적인 지시를 제공한다.
🚨 [6] 치료사와 환자가 힘을 주고 빼는 순간이 일치하지 않음
▶ 문제점:
- 치료사와 환자가 힘을 주고 빼는 타이밍이 맞지 않으면, MET의 효과가 줄어든다.
- 환자가 힘을 빼기 전에 치료사가 움직이면 반사적으로 근육이 긴장될 수 있다.
▶ 교정법:
✔ 치료사는 환자가 힘을 뺄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한 후 천천히 움직인다.
✔ 환자에게 "천천히 힘을 빼세요. 제가 신호를 줄 때까지 유지하세요"라고 안내한다.
🚨 [7] 신장을 충분히 유지하지 않고 너무 짧은 시간만 적용한다
▶ 문제점:
- 근육이 이완된 후 **신장(stretch)**을 적절한 시간 동안 유지하지 않으면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 너무 짧게 적용하면 근육이 원래 길이로 돌아가려는 성질로 인해 다시 수축할 가능성이 있다.
▶ 교정법:
✔ 이완 후 최소 20~30초간 신장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 근육이 새로운 길이를 적응할 시간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 단,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경우 더 짧거나 길게 조정할 수 있다.
2️⃣ MET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핵심 정리
✅ 치료사는 근육과 관절의 적절한 정렬을 유지해야 한다.
✅ 정확한 방향으로 반대힘을 제공해야 한다.
✅ 근육의 이완 시간이 필요하므로 서두르지 않아야 한다.
✅ 환자가 올바른 힘을 사용하도록 명확한 지시를 해야 한다.
✅ 힘을 주고 빼는 타이밍을 정확하게 맞춰야 한다.
✅ 이완 후 20~30초 이상 신장을 유지해야 한다.
📌 이러한 원칙을 준수하면 MET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환자의 치료 결과를 개선할 수 있다. 🚀
'근골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에너지 기법과 호흡 (Breathing and MET)(The Role of Breathing in Muscle Energy Techniques) (0) | 2025.03.19 |
---|---|
[어깨복합체] 부리봉우리활 그리고 관계된 윤활주머니들, 오목위팔관절 운동형상학 (0) | 2025.03.19 |
[어깨복합체] 정적인 안정성에 대한 어깨가슴의 자세와 그 영향 (0) | 2025.03.18 |
근에너지 기법(MET)에서 흔히 일어나는 실수와 금기증(MET - Some Common Errors and Contraindications) (0) | 2025.03.17 |
[어깨복합체] 돌림근띠와 위팔두갈래근 긴갈래, 오목테두리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