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상호 억제 기법 (RI, Reciprocal Inhibition)(Reciprocal Inhibition Technique - RI)

by 물리치료사서희원 2025. 3. 14.
반응형

1️⃣ RI 기법이란?

  • RI 기법은 PIR(Post-Isometric Relaxation)과 유사한 잠복기(불응기)를 유도하는 생리학적 기전 을 이용한 기법이다.
  • PIR과 차이점은 RI 기법은 급성 문제에 적합하며, 특히 외상성 손상이나 통증이 있는 근육을 이완하는 데 효과적 이라는 점이다.
  • PIR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RI 기법이 안전한 대안 이 될 수 있다.

2️⃣ RI 기법이 필요한 경우

✔ 급성 문제 (Acute conditions)
외상 후 근육 경련 이 있거나, 지속적인 근 수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통증이 심해 PIR 적용이 어렵거나,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된 경우


3️⃣ RI 기법 적용 시 필수 원칙

RI 기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려면 다음 두 가지 요소가 필수적이다.

 

1. 조직의 저항성 장벽 바로 직전에서 시행해야 한다.

  • 저항 장벽을 넘지 않고, 장벽 바로 앞에서 근육 수축을 유도 해야 한다.
  • Liebenson(1989)은 RI 기법을 적용할 때 장벽을 넘는 것은 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장벽 전에서 시행할 것 을 권장했다.

2. 중간 범위 자세에서 수축을 시작하는 것이 가장 편안하다.

  • 끝 범위(Extreme Range)에서 수축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더 어렵고 불편하다.
  • 따라서 중간 범위(Mid-Range)에서 시작하면 더 효과적으로 RI 기법을 수행할 수 있다.

4️⃣ 중간 범위에서 RI 기법을 적용하는 이유

중간 범위에서 시작하면 근경련(cramp)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특히 슬곡근(햄스트링)과 같은 하지 근육에서는 근경련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중간 범위가 더 적합하다.
강하고 긴 수축(20% 강도로 10~12초 이상 지속)이 필요한 경우, 중간 범위에서 수행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끝 범위에서 수행하면 근육 피로도가 증가하고, 신경학적 반응이 저하될 수 있다.

✅ RI 기법 적용 요약

🔹 급성기(acute phase) 근육 문제에 적합
🔹 PIR 기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대안으로 적용
🔹 저항 장벽 직전에서 시행하여 장벽을 넘지 않도록 주의
🔹 중간 범위(Mid-range)에서 수축을 시작하면 경련 위험 감소
🔹 햄스트링(슬곡근)과 같은 근육에서는 특히 중간 범위 적용이 필수적

 

📌 결론: RI 기법은 급성 근육 문제나 통증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며, PIR 기법보다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급성기와 만성기에 상호 억제 기법(RI)을 이용한 근에너지 기법 연습

(Basic exercise in MET using Reciprocal Inhibition (RI) in acute and chronic context)


1️⃣ RI 기법을 적용하는 기본 원칙

급성기(Acute Phase)와 만성기(Chronic Phase)에 따라 적용 방법이 다르다.
근육의 과도한 긴장과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길항근을 활용하는 원리 를 기반으로 한다.
급성기에서는 장벽을 넘지 않으며, 만성기에서는 장벽을 넘어 신장을 유도할 수 있다.


2️⃣ RI 기법을 적용한 근에너지 기법 연습 (내전근 예시)

✅ 단계 1: 제한된 지점에서 시작

🔹 사지(leg)를 외전(abduction)하면서 첫 번째 저항성 장벽이 나타나는 지점을 찾는다.
🔹 해당 지점에서 아주 약간 중간 범위로 되돌아간다 (약간의 각도만 조정).


✅ 단계 2: 환자가 길항근을 활성화

🔹 환자에게 사지를 장벽 쪽(내전 방향)으로 밀지 않고, 반대로 치료사가 가하는 저항에 대항하여 외전하도록 지시한다.
🔹 이때, 환자의 힘은 20% 이상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
🔹 너무 강한 힘을 사용하면 신장 반사가 활성화되어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 단계 3: 이완과 신장 (급성기 vs. 만성기 차이점)

급성기(Acute Phase)
✔ 마지막 수축 후 환자가 완전히 이완할 수 있도록 숨을 내쉬면서 완전한 휴식 을 취하게 한다.
✔ 치료사는 저항성 장벽까지만 사지를 이동 하여 새로운 장벽을 확보 한다.
✔ 이때, 환자의 협조 없이 치료사가 조심스럽게 사지를 이동시킨다.

 

만성기(Chronic Phase)
✔ 마지막 수축 후, 환자에게 숨을 내쉬면서 적극적인 이완을 유도 한다.
✔ 치료사는 장벽을 넘어서 조직을 신장시키고, 환자가 스스로 신장에 협조하도록 한다.
환자가 능동적으로 외전 방향으로 사지를 움직이면 신장 반사 위험이 감소하고, 효과적인 신장이 가능하다.


3️⃣ RI 기법 연습 시 유의 사항

급성기에서는 장벽을 넘지 않고, 만성기에서는 장벽을 넘어서 신장을 유도한다.
환자의 힘은 20% 이하로 유지하며, 너무 강한 수축을 피해야 한다.
환자의 호흡(숨을 내쉬는 과정)을 활용하여 이완을 촉진한다.
신장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환자가 능동적으로 협조하도록 유도한다.

 

📌 결론: RI 기법은 급성기와 만성기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야 하며, 근육 긴장과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