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만성기에 등척성 후 이완 기법(PIR)을 이용한 근에너지 기법 기본 연습(Basic Exercise in MET Using Postisometric Relaxation in Chronic Context)

by 물리치료사서희원 2025. 3. 13.
반응형

🔹 1. 만성 상태와 PIR 적용 원칙

  • 섬유증(fibrosis)이 주요 문제이거나, 만성적인 상태에서는 더 강한 수축을 사용할 수 있다.
  • 단순히 새로운 장벽을 찾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근육을 실제로 신장 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 이는 Janda(1993)의 촉진 후 신장법(post-facilitation stretching, PFS) 접근법과 유사하다.
  • 느슨한(slack) 중간 범위 자세에서 수축을 시작 하고, 이후 신장을 적용한다.

🔹 2. Janda의 PIR 접근법

  • 수축이 끝나면 즉시 조직을 신장 시킨다.
  • 신장은 최소한 10초 동안 유지 하고,
  • 다시 시작하기 전까지 30초 이상의 휴식 을 가진다.
  • 필요하다면 이 과정을 여러 번 반복 한다.

🔹 3. Janda 접근법의 변형 (Modification of Janda's Approach)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만성 섬유화 조직을 위한 MET 적용법

1️⃣ 장벽이 나타나는 부위보다 중간 범위의 자세에서 시작한다.

  • (Janda는 ‘최대 힘’을 사용해야 한다고 설명하지만, 보다 효과적인 접근을 위해 조정 가능)

2️⃣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힘의 50% 이하, 20% 이상 강도로 10~12초 동안 등척성 수축을 유지 한다.

  • 이때 치료사는 환자의 힘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저항을 제공해야 한다.

3️⃣ 수축이 끝난 후 2~3초 동안의 짧은 휴식 을 가진다.

4️⃣ 이전의 저항 장벽을 약간 넘어선 부위까지 신장한다.

  • 즉, 조직을 새로운 장벽을 넘어 부드럽게 늘려주어야 한다.

5️⃣ 환자가 장벽을 넘어서 부드럽게 협조하도록 유도한다.

  • 신장 시 길항근을 수축하면 신장 반사를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Mattes, 1990의 연구를 기반으로 함)

6️⃣ 수축 - 이완 - 신장의 과정을 반복하여 제한된 조직의 길이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때까지 수행한다.

  • 필요에 따라 수축 사이의 휴식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 4. Janda와 Lewit의 PIR 접근법 차이점

구분Lewit의 PIR 접근법Janda의 PIR 접근법

시작 위치 제한 지점에서 시작 장벽의 약간 전 위치에서 시작
수축 강도 부드러운 수축 길고 강한 수축
신장 범위 새로운 장벽을 찾아 신장 새로운 장벽보다 조금 더 넘어간 부위까지 신장

🔹 5. Janda 접근법의 장점과 주의사항

Janda의 접근법은 만성적인 근육 단축과 섬유증 문제 해결에 매우 효과적 이다.
최대 힘을 사용한 후 신장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비교적 안전하게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조직에 미세한 외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며, 너무 강한 힘을 사용하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급성 상태가 아닌 만성적인 근육 단축과 섬유화된 조직에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만성 상태에서 PIR 적용 시 핵심 요약

🔹 목표는 단순한 장벽 해결이 아니라, 근육을 실제로 신장하는 것!
🔹 강한 등척성 수축 후, 신장을 10초 이상 유지하고 30초 휴식!
🔹 환자가 부드럽게 협조하도록 유도하여 신장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
🔹 섬유화된 조직의 변화가 확인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적용!

 

📌 Janda의 강한 수축 방식과 Lewit의 부드러운 접근법을 상황에 맞게 조합하면 최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