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9

[어깨복합체] 어깨가슴관절에서 내밈과 뒤당김, 위쪽돌림과 아래쪽돌림 내밈과 뒤당김 어깨뼈의 내밈(protraction) 동작은 SC관절과 AC관절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수평면상의 정교한 돌림 운동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결과이다. 이 과정에서 어깨뼈는 SC관절에대해 전방으로 내밈하는 빗장뼈의 해부학적 이동 경로를 자연스럽게 추종하게 된다. 이때 AC관절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안쪽돌림을 제공함으로써 어깨가슴관절 내밈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확장하거나, 보완하거나, 혹은 미세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어깨가슴관절의 내밈이 SC관절과 AC관절의 협응된 복합 운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 관절에서의 운동 제한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관절에서의 보상적 운동 증가를 통해 어느 정도까지는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 AC관절에 심각한 퇴행성관절염이 있어 운동이 제한된.. 2025. 3. 11.
'팽팽함'은 항상 나쁜 것인가? (Is 'tight' always undesirable?)-Lewit 이전 임상적으로, 근육이나 연부 조직이 팽팽한 상태는 일반적으로 제한 장벽으로 간주되며, 많은 경우 치료 대상이 된다. 그러나 근육의 팽팽함이 항상 해로운 것은 아니며, 특정 상황에서는 신체의 보호 기전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1. 팽팽한 근육이 보호적 역할을 하는 경우📌 1) 대퇴이두근(Hamstrings)과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의 안정성Van Wingerden(1997)의 연구에 따르면, 대퇴이두근(hamstring)의 팽팽함은 천장관절(SI joint)의 내적·외적 지지에 기여할 수 있다.✅ 내적인 안정성:대퇴이두근은 천결절(sacrotuberous) 인대와 긴밀한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관계를 가진다.대퇴이두근이 수축하면 천결절 인대의 긴장도가 증가하며, 이로 인해 천장관절의 운동 범.. 2025. 3. 10.
섬유근육통,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고 가세요 현대 사회에서 여러 이유로 만성적인 근육통과 피로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죠. 온몸이 쑤시고 피곤하지만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에는 ‘섬유근육통(Fibromyalgia)’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섬유근육통은 근골격계의 만성 통증과 피로, 수면 장애 등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겉으로 보기에 뚜렷한 이상이 없지만 일상생활에는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됩니다. 🔎 섬유근육통이란?섬유근육통(Fibromyalgia)은 근육과 연부조직에서 만성적인 통증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단순한 근육통과는 다르게 광범위한 통증과 피로, 수면 장애, 우울감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 질환은 자가면역 질환, 신경계 이상, 스트레스, 호르몬 불균형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 2025. 3. 10.
[어깨복합체] 어깨가슴관절과 어깨뼈 올림, 내림 어깨가슴관절 어깨가슴관절은 일반적인 활액관절과는 달리 진정한 의미의 관절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으며, 해부학적으로는 어깨뼈의 전면부와 흉곽의 후외측 벽면이 서로 마주보는 접촉 영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두 해부학적 구조 사이에는 직접적인 뼈대뼈 접촉이 존재하지 않으며, 대신 어깨밑근, 앞톱니근, 그리고 척주세움근과 같은 여러 근육층이 중간에 위치하여 이들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고 있다. 이러한 두께감 있는 근육층들은 풍부한 수분을 함유한 표면을 형성하여 관절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전단력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한다. 만약 어깨뼈 운동 중에 특징적인 딸깍거리는 소리가 발생한다면, 이는 관절 내에서 비정상적인 접촉이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임상적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해부학적 기준점을 살펴보면, 어깨.. 2025. 3. 10.
촉진 기술 (Palpation Skills) 편안함과 속박 (Ease and Bind)촉진 기술을 익히기 위해서는 조직의 상대적인 긴장감(tension) 또는 속박(bind) 과 이완(relaxation) 또는 편안함(ease) 을 정확히 구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초보자는 물론, 숙련된 치료사도 이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관절과 연부 조직의 상태를 평가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며, 이를 통해 정상과 비정상을 구별할 수 있다.📌 촉진 기술의 핵심 개념Ward(1997)는 촉진 과정에서 "팽팽함이란 조직이 제한되거나 속박된 상태" 를 의미하며, "느슨함은 관절의 연부 조직이 특정한 신경학적 억제에 의해 느슨해진 상태" 를 나타낸다고 설명하였다. H.V. Hoover(1969)는 '편안함'이란 조직이 안정적이고 균형 잡힌 상태 .. 2025. 3. 7.
어깨 인대 끊어짐, 원인과 증상 알고 치료 받으세요 어깨는 우리 몸에서 가장 유연한 관절이지만, 그만큼 불안정성이 높아 부상이 쉽게 발생하는 부위죠. 어깨는 이 '자유도' 때문에 다른 관절과 같은 구조적인 견고함 보다는 인대와 근육 같은 연부조직들로 안정성을 도모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어깨를 지지하는 인대가 끊어지거나 찢어지는 경우, 심한 통증과 함께 심각한 어깨의 기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어깨 인대가 끊어졌다"는 표현은 구체적으로 어깨 관절을 지지하는 주요 인대(견봉쇄골 인대, 오구쇄골 인대, 관절낭 인대 등)가 완전히 파열되거나 심하게 손상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상태가 되면 팔을 들어 올리거나 움직이는 것이 어렵고,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게됩니다.🔎 어깨 인대 끊어짐(어깨 인대 파열)이란?어깨는 견봉(Acromion).. 2025. 3. 7.